코딩테스트/프로그래머스

불량사용자 python(카카오 2019겨울인턴십)[프로그래머스]

멍토 2020. 5. 5.

문제 주소입니다.

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64064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1. 문제 설명

2. 문제 해석

3. 소스 코드

4. 결과


1. 문제 설명

개발팀 내에서 이벤트 개발을 담당하고 있는 무지는 최근 진행된 카카오이모티콘 이벤트에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당첨을 시도한 응모자들을 발견하였습니다. 이런 응모자들을 따로 모아 불량 사용자라는 이름으로 목록을 만들어서 당첨 처리 시 제외하도록 이벤트 당첨자 담당자인 프로도 에게 전달하려고 합니다. 이 때 개인정보 보호을 위해 사용자 아이디 중 일부 문자를 '*' 문자로 가려서 전달했습니다. 가리고자 하는 문자 하나에 '*' 문자 하나를 사용하였고 아이디 당 최소 하나 이상의 '*' 문자를 사용하였습니다.
무지와 프로도는 불량 사용자 목록에 매핑된 응모자 아이디를 제재 아이디 라고 부르기로 하였습니다.

예를 들어, 이벤트에 응모한 전체 사용자 아이디 목록이 다음과 같다면

["frodo", "fradi", "crodo", "abc123", "frodoc"]

다음과 같이 불량 사용자 아이디 목록이 전달된 경우,

["fr*d*", "abc1**"]

불량 사용자에 매핑되어 당첨에서 제외되어야 야 할 제재 아이디 목록은 다음과 같이 두 가지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frodo, abc123], [fradi, abc123]

이벤트 응모자 아이디 목록이 담긴 배열 user_id와 불량 사용자 아이디 목록이 담긴 배열 banned_id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당첨에서 제외되어야 할 제재 아이디 목록은 몇가지 경우의 수가 가능한 지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user_id 배열의 크기는 1 이상 8 이하입니다.
  • user_id 배열 각 원소들의 값은 길이가 1 이상 8 이하인 문자열입니다.
    • 응모한 사용자 아이디들은 서로 중복되지 않습니다.
    • 응모한 사용자 아이디는 알파벳 소문자와 숫자로만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banned_id 배열의 크기는 1 이상 user_id 배열의 크기 이하입니다.
  • banned_id 배열 각 원소들의 값은 길이가 1 이상 8 이하인 문자열입니다.
    • 불량 사용자 아이디는 알파벳 소문자와 숫자, 가리기 위한 문자 '*' 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 불량 사용자 아이디는 '*' 문자를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습니다.
    • 불량 사용자 아이디 하나는 응모자 아이디 중 하나에 해당하고 같은 응모자 아이디가 중복해서 제재 아이디 목록에 들어가는 경우는 없습니다.
  • 제재 아이디 목록들을 구했을 때 아이디들이 나열된 순서와 관계없이 아이디 목록의 내용이 동일하다면 같은 것으로 처리하여 하나로 세면 됩니다.

예시

입출력 예

 

user_id banned_id result
["frodo", "fradi", "crodo", "abc123", "frodoc"] ["fr*d*", "abc1**"] 2
["frodo", "fradi", "crodo", "abc123", "frodoc"] ["*rodo", "*rodo", "******"] 2
["frodo", "fradi", "crodo", "abc123", "frodoc"] ["fr*d*", "*rodo", "******", "******"] 3

2. 문제풀이

문제의 범위가 크지 않아서 dfs를 이용하여 모든 경우의 수를 체크

유저와 벤유저를 사용했는지 확인하는 리스트 변수를 만들어 체크하면서 진행

set구조를 이용하여 중복을 없애고 길이를 리턴함으로써 경우의 수 반환.

 


3. 소스코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Lv3 카카오 2019 인턴십 불량이용자
 
def solution(user_id, banned_id):
    answer = set()
    ban_length = len(banned_id)
    user_length = len(user_id)
    #벤길이과 유저길이가 같다면 경우의 수는 1개라고 리턴
    if ban_length == user_length:
        return 1
    #걸린 유저 체크용
    use_user = [1 for _ in range(user_length)]
    #사용된 벤유저 체크용
    use_ban = [1 for _ in range(ban_length)]
    #dfs를 이용하여 경우의 수를 검사
    stack = []
    #첫 시작은 0부터이다.
    stack.append([0, use_user, use_ban])
    #스택이 빌때까지 반복
    while stack:
        #스택에서 데이터를 꺼내 매칭
        idx, use_user, use_ban = stack.pop()
        #모든 벤유저를 찾았다면 정답에 추가
        #중복을 방지하기 위해 셋구조에 추가
        if idx == ban_length:
            temp = []
            for i in range(user_length):
                if not use_user[i]: temp.append(user_id[i])
            if temp: answer.add(tuple(temp))
        #벤유저와 모든 유저를 반복해서 돈다.
        for i in range(ban_length):
            #체크한 벤유저가 아니라면
            if use_ban[i] : 
                for j in range(user_length):
                    # 사용한 유저가 아니어야 하고, 벤유저아이디 길어와 유저아이디 길이가 같아야 한다.
                    if use_user[j] and len(banned_id[i]) == len(user_id[j]):
                        #반복문을 돌면서 둘이 매칭되는지 확인한다. * 인경우 넘어간다.
                        for k in range(len(user_id[j])):
                            if user_id[j][k] != banned_id[i][k] and banned_id[i][k] != '*':
                                break
                        #break가 걸리지 않았다면
                        else:
                            #유저와 벤유저 모드 체크하고
                            use_user[j] = 0
                            use_ban[i] = 0
                            #스택에 추가한다.
                            stack.append([idx+1, use_user[:], use_ban[:]])
                            #체크한것을 해제
                            use_user[j] = 1
                            use_ban[i] = 1
    #set의 길이가 경우의 수이다.
    return len(answer)
 
    
users_id = [
    ["frodo""fradi""crodo""abc123""frodoc"],
    ["frodo""fradi""crodo""abc123""frodoc"],
    ["frodo""fradi""crodo""abc123""frodoc"]
]
 
banned_id = [
    ["fr*d*""abc1**"],
    ["*rodo""*rodo""******"],
    ["fr*d*""*rodo""******""******"]
]
 
result = [223]
 
for i in range(3):
    answer = solution(users_id[i], banned_id[i])
    if answer == result[i]:
        print('정답')
    else:
        print('틀림')

 

 


4. 결과

댓글

💲 광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