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이도 : Bronze 2
문제번호 : 2231
문제 주소 및 출처입니다.
2231번: 분해합
어떤 자연수 N이 있을 때, 그 자연수 N의 분해합은 N과 N을 이루는 각 자리수의 합을 의미한다. 어떤 자연수 M의 분해합이 N인 경우, M을 N의 생성자라 한다. 예를 들어, 245의 분해합은 256(=245+2+4+5)이
www.acmicpc.net
목차
1. 문제 설명
2. 문제 해석
3. 소스 코드
1. 문제 설명
어떤 자연수 N이 있을 때, 그 자연수 N의 분해합은 N과 N을 이루는 각 자리수의 합을 의미한다. 자연수 N이 주어졌을 때, N의 가장 작은 생성자를 구해내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
입력
첫째 줄에 자연수 N(1 ≤ N ≤ 1,000,000)이 주어진다. |
출력
첫째 줄에 답을 출력한다. 생성자가 없는 경우에는 0을 출력한다. |
2. 문제풀이
완전탐색으로 풀 수 있는 문제이다. |
3. 소스코드
N = int(input())
case = {}
answer = 0
for i in range(N//2, N):
str_num = str(i)
temp_num = i
for s in str_num:
temp_num += int(s)
if temp_num == N:
answer = i
break
print(answer)
|
'코딩테스트 > 백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검증수 Python(백준, 2475) (0) | 2020.08.28 |
---|---|
벌집 Python(백준, 2292) (0) | 2020.08.20 |
팰린드롬수 Python(백준, 1259) (1) | 2020.08.18 |
단어공부 Python(백준, 1157) (0) | 2020.08.17 |
단어의 개수 Python(백준, 1152) (0) | 2020.08.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