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조 : https://ko.wikipedia.org/wiki/HTTP_%EC%83%81%ED%83%9C_%EC%BD%94%EB%93%9C
HTTP 응답 코드는 크게 5개의 클래스로 분류된다.
상태코드의 첫번째 숫자는 응답 클래스를 정의한다.
1XX : 조건부 응답 2XX : 성공 3XX : 리다이렉션 완료 4XX : 요청 오류 5XX : 서버 오류 |
2XX :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동작을 성공적으로 처리했음을 의미한다.
200 : 서버가 요청을 제대로 처리, 보통 서버가 요청한 페이지를 정상적으로 제공했다는 의미로 사용됨.
|
4XX : 클라이언트에 오류가 있음을 나타낸다
401 : 권한이 없음을 나타내는데, 보통 로그인을 하지 않은상태에서 접근시 발생한다. 403 : 권한이 없는 상태에서 접근할때 나타난다. admin이 아닌데 admin과 관련된 동작을 하려할때. 404 : 페이지를 찾을수 없음을 나타낸다. 서버에 존재하지 않는 페이지를 요청할때 나타난다. 페이지가 사라졌지만 남아있던 링크, 잘못된 url로 접근할때 나온다. 405 : 허용되지 않은 방법으로 요청할때 나온다. POST로 접근을 해야할때 GET방식으로 요청하거나 할때 나온다.
|
5XX : 서버오류, 서버에서 유효한 요청을 명백하게 수행하지 못했음을 나타낸다.
502 : Bed Gateway, 보통 서버가 터졌을때 나타난다. |
'이론공부 > 네트워크통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TCP 3-way handwake란 무엇인가? (0) | 2020.08.06 |
---|---|
쿠키/세션이란 무엇인가? (1) | 2020.08.03 |
CORS란 무엇인가? (0) | 2020.08.02 |
CSRF란 무엇인가? 방어기법? (0) | 2020.07.31 |
GET, POST방식의 이해 (0) | 2020.04.25 |
댓글